통신 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신 위성은 무선 신호를 중계하여 음성, 데이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인공위성이다. 1945년 아서 C. 클라크의 개념 제시 이후, 1957년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1960년대 텔스타, 신콤 2호, 인텔샛 1호 등 상업적 통신 위성이 개발되었다. 통신 위성은 정지 궤도, 중궤도, 저궤도 등 다양한 궤도를 활용하며, UHF에서 SHF 대역까지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한다. 주요 활용 분야는 장거리 전화, 위성 방송, 위성 인터넷, 항법, 군사 통신 등이며, 한국은 1995년 무궁화 1호 발사를 시작으로 통신 위성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위성 - 인터스푸트니크
인터스푸트니크는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코메콘 회원국들을 위해 설계된 국제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 몰니야-3형 위성에서 고리존트형 정지궤도 위성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 통신 위성 - 인텔샛
1964년 설립된 인텔샛은 최초의 상업용 통신 위성 운영 기관에서 룩셈부르크에 본사를 둔 위성 통신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 발전하여 국제 통신망 구축에 기여했으며, 민영화 이후 위성 제작, 발사, 통신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최근 SES에 인수 합병되었다. - 인공위성 - 큐브위성
가로, 세로, 높이 10cm의 정육면체 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초소형 인공위성인 큐브위성은 대학생 교육 및 기술 검증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소형화된 규격을 통해 발사 비용을 절감하고 통신, 지구 관측, 심우주 탐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인공위성 - 정지 궤도
정지 궤도는 지구 자전 주기와 같은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여 특정 지점에 고정되어 보이는 궤도로, 통신, 방송, 기상 위성 등에 활용되며 '클라크 궤도'라고도 불리지만, 높은 고도와 제한적인 궤도 슬롯으로 인해 궤도 할당 및 우주 쓰레기 문제가 존재한다. - 전기 통신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전기 통신 - 고속 패킷 접속
고속 패킷 접속(HSPA)은 3세대 이동통신(3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 집합체로, 고속 하향/상향 패킷 접속(HSDPA/HSUPA)을 통해 속도를 개선하고 다중 안테나, 고차 변조, 다중 주파수 대역 활용 등의 기술로 진화했으나, LTE 및 5G 기술 발전으로 현재는 상용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통신 위성 | |
---|---|
통신 위성 | |
![]() | |
역할 | 무선 신호 중계 |
고도 | 35,786 킬로미터 (22,236 마일) |
용도 | 통신, 방송, 내비게이션, 군사 목적 등 |
작동 원리 | |
신호 처리 | 지상국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 증폭 및 주파수 변환 다른 지상국으로 신호 재전송 |
궤도 | 정지 궤도 주로 사용 지구 자전과 동일한 속도로 공전 지상에서 볼 때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보임 |
역사 | |
최초 통신 위성 | 스코어 (1958년) 메시지를 녹음하여 지구로 방송 |
최초 상업 통신 위성 | 텔스타 (1962년) |
통신 위성 발전 | 인텔샛 설립 (1964년) 전 세계 통신 네트워크 구축 |
활용 분야 | |
방송 | 텔레비전 방송 중계 라디오 방송 중계 |
통신 | 전화 통신 인터넷 통신 |
내비게이션 | GPS 갈릴레오 글로나스 |
군사 | 군사 통신, 정찰 등 |
관련 기술 | |
주파수 대역 | C 대역, Ku 대역, Ka 대역 등 |
안테나 | 파라볼라 안테나, 위상 배열 안테나 등 |
전력 | 태양 전지 패널, 배터리 등 |
수명 | 일반적으로 10년 이상 |
기타 | |
통신 위성 궤도 | 정지 궤도, 저궤도 등 |
2. 역사
1957년 소비에트 연방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통신위성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58년 미국은 프로젝트 SCORE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실험을 했고, 1960년 미항공우주국(NASA)은 에코 위성을 발사하여 통신 실험을 진행했다.
1962년 7월 10일 발사된 텔스타는 최초의 능동형 상업 통신위성이었다. 1963년 7월 26일 허프 항공사의 Syncom 2는 정지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통신위성이었으나, 적도와 평행한 궤도가 아니어서 특별한 추적 장비가 필요했다.
세계 최초의 상업적 통신 위성은 1962년 4월 6일 발사된 인텔셋 4호이다.
러시아는 지리적 특성상 몰니야 궤도의 통신위성을 이용하기도 한다. 통신위성은 광케이블을 이용한 해저 케이블과 상호 보완적인 기술을 제공하지만, 2015년 기준 국제 통신의 약 99%는 해저 케이블이 담당하고 있다.[48]
아서 C. 클라크는 포토츠닉의 1928년 연구를 바탕으로 통신위성을 제안했다. 그는 1945년 「와이어리스 월드」지에 기고한 글에서 정지궤도에 인공위성을 배치하는 방법의 기본 원리를 설명했다.
1989년부터 2012년까지 일본의 JCSAT, SUPERBIRD 위성 발사 및 CS 디지털 방송 서비스 개시 등 다양한 발전이 있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989년 | JCSAT-1, JCSAT-2 발사 |
1992년 | CS 아날로그 방송 사업자 인증, CS-PCM 음성 방송 개시, SUPERBIRD-B, SUPERBIRD-A 발사 |
1995년 | JCSAT-3 발사 |
1996년 | 퍼펙TV! 방송 개시 |
1997년 | JCSAT-4, SUPERBIRD-C 발사, 디렉TV 방송 개시 |
1998년 | CS번, 스카이포트 방송 종료, 스카이퍼펙TV!(스카파!) 개시 |
1999년 | JCSAT-4A 발사 |
2000년 | 디렉TV 폐국, N-SAT-110 발사 |
2001년 | 사운드 플래닛 개시 |
2002년 | 프랫원, 스카이퍼펙TV!2, 축적형 양방향 서비스(ep) 개시, JCSAT-2A 발사 |
2004년 | 스카이퍼펙TV!110(스카파!e2) 개시, ep 일부 서비스 종료, WOWOW 디지털 플러스 개시 |
2005년 | 액세스TV, SPACE DiVA 개시 |
2006년 | JCSAT-3A 발사, WOWOW 디지털 플러스 종료 |
2007년 | HOP TV 개시 |
2012년 | JCSAT-13 발사 |
2. 1. 초기 역사
1957년 소비에트 연방이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는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이자 통신위성 역사의 시작이었다. 스푸트니크 1호에는 20.005MHz와 40.002MHz 두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라디오 송신기가 장착되어 있었다.[5] 비록 지구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궤도에 배치된 것은 아니었지만, 라디오 송신기를 통해 전리층 전체의 전파 분포 특성을 연구할 수 있었다. 스푸트니크 1호 발사는 우주 시대를 열었다.[6]
1958년 미국의 프로젝트 SCORE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최초의 통신 중계 위성이었다. 이 위성은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수신, 저장 및 재전송했으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크리스마스 인사를 세계에 전송하는 데 사용되었다.[9]

1960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에코 위성은 마이크로파 신호를 수동으로 반사하는 알루미늄 도금된 풍선 위성으로, 수동형 통신위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실험은 전화, 라디오 및 텔레비전 신호의 전 세계 방송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13]
2. 2. 능동형 통신위성의 등장
1962년 7월 10일, 벨 연구소에서 개발한 C밴드 트랜스폰더를 탑재한 텔스타가 발사되었다.[14][15] 텔스타는 최초의 능동형 상업 통신위성이자 최초로 대서양 횡단 TV 신호 전송을 성공시킨 위성이었다. 이 위성은 NASA에 의해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최초로 민간기업이 후원하여 발사되었다. 텔스타 위성은 2시간 37분에 한 바퀴 도는, 궤도 경사각 45도의 타원궤도( 원점 약 5,600km, 근점 약 950km)에 투입되었다. 텔스타는 AT&T에 소속되어 있지만, 이는 AT&T, 벨 연구소, 미국항공우주국, 영국 우정청, 프랑스 우정청 간의 위성 통신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다국간 합의에 따른 것이었다.1963년 7월 26일, 허프 항공사의 Syncom 2가 발사되었다.[19] Syncom 2는 정지궤도에 진입한 최초의 통신위성이었다. Syncom 2는 하루에 한 번 일정 속도로 지구를 공전했지만, 여전히 남북 방향으로 움직였기 때문에 추적을 위한 특수 장비가 필요했다.
1964년 8월 19일, Syncom 3가 발사되었다.[51][52][53] Syncom 3는 최초의 정지궤도 통신위성이었으며, 남북 방향으로의 움직임 없이 정지궤도를 얻어 지상에서는 하늘에 정지해 있는 물체처럼 보였다. Syncom 3는 1964년 도쿄 올림픽 중계에 사용되어, 통신위성의 유용성을 세계 방송·통신 관계자들에게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2. 3. 상업적 발전과 국제 협력
1962년 미국에서 커뮤니케이션스 위성 주식회사(COMSAT)가 설립되었고,[23] 국제 협력을 통해 1965년 최초의 상업 통신위성 인텔샛 1호(얼리버드)가 발사되었다.[24][25] 1972년 캐나다는 아닉 A1을 발사하여 북미 대륙을 위한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 서비스를 시작했고,[27] 1974년 미국 웨스턴 유니온은 웨스타 1을 발사했다. 같은 해 프랑스와 독일은 삼축 안정화(three-axis stabilized)가 가능한 최초의 위성 ATS-6호(ATS-6)를 발사했다.3. 궤도
통신 위성은 임무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궤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주요 유형의 궤도를 사용하며, 궤도의 세부 정보를 더 자세히 지정하기 위해 다른 궤도 분류가 사용된다.
- 정지 궤도 (GEO): 지구 표면에서 약 35785.28km 떨어진 정지 궤도를 가진다. 지상 관측자가 볼 때 하늘에서 위성의 겉보기 위치가 변하지 않아 마치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위성의 공전 주기가 지구의 자전 속도와 같기 때문이다. 지상 안테나는 위성을 추적할 필요 없이 고정된 위치를 향하면 된다.
- 중궤도 (MEO): 궤도 고도는 지구 위 2000km에서 36000km이다. 저궤도 (LEO) 위성보다 관측 가능 시간이 길고(보통 2~8시간),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한다.
- 저궤도 (LEO): 지구 위 약 160km에서 2000km 영역이다. 지구와의 거리가 가까워 지연 시간이 짧고, 낮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지속적인 통신을 위해서는 더 많은 위성이 필요하다.
MEO와 LEO는 정지 궤도가 아닌 궤도(NGSO)이다. 이 궤도에 있는 위성은 지구를 더 빠르게 공전하므로, 지상 관측자에게는 하늘을 가로질러 이동하여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최근에는 저궤도나 중궤도의 위성체계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러시아는 고위도 지역에서의 통신을 위해 몰니야 궤도를 이용하기도 한다.
3. 1. 정지궤도 (GEO)
정지궤도 위성은 일정한 속도로 하루에 한 번씩 적도를 따라 지구 주위를 돈다. 지구에서 보면 마치 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정지궤도는 통신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지상 안테나는 항상 위성을 향해야 하는데, 정지궤도 위성은 위성의 움직임을 쫓는 비싼 추가 장비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많은 수의 지상 안테나가 필요한 통신 분야(지상 TV망)의 경우, 위성을 정지궤도에 올리면 위성 발사 비용이 더 들더라도 지상 장비 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정지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은 아서 C. 클라크가 처음 제안했다. 1945년 클라크는 "[https://web.archive.org/web/20071225093216/http://www.lsi.usp.br/~rbianchi/clarke/ACC.ETRelaysFull.html Extra-terrestrial Relays]"라는 기고문을 영국의 잡지 ''Wireless World''에 발표했다. 이 글은 무선 통신 중계를 위해 인공위성을 정지궤도에 배치하는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그래서 아서 C. 클라크는 통신 위성의 고안자로 자주 언급된다.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은 1964년 8월 19일에 발사된 Syncom 3이다. 이 위성은 날짜변경선 상에 자리 잡았으며, 같은 해 도쿄도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을 미국으로 중계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는 태평양을 횡단한 최초의 위성 중계 방송이었다.
곧이어 인텔샛 1호(별명: Early Bird)가 1965년 4월 6일에 서경 28° 상공에 발사되었다. 이 위성을 통해 대서양을 건너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1972년 9월 9일, 미국에 서비스를 제공한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인 Anik A1이 Telesat Canada에 의해 발사되었다. 미국의 Western Union은 1974년 4월 13일 Westar 1을 발사했다.
1974년 12월 19일, 궤도 상에서 3축 안정화가 가능한 세계 최초의 위성 Symphonie가 프랑스와 독일에 의해 발사되었다.
신콤 1호는 최초의 정지통신위성이 될 예정이었으나, 1963년 2월 14일 발사 도중 전자 회로 고장으로 정지궤도 진입에 실패했다.[49]
같은 해 7월 26일, 신콤 2호가 발사되었지만 완전한 정지 상태는 아니었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음성, 영상, 텔레타이프 단말기, 팩시밀리 테스트에 성공했다.[49][50]
1964년 8월 19일, 신콤 3호가 발사되어 태평양 적도 상공, 경도 180도에 정지했다. 같은 해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미일 간 TV 영상 전송이 신콤 3호를 통해 이루어졌고, 이는 통신위성의 유용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965년 1월 1일 미국 국방부에 인계되어 군사용으로 활용되었으며, 1969년 4월에 운영이 중단되었다.[51][52][53]
3. 2. 지구 저궤도 (LEO)
지구 저궤도 (LEO)는 일반적으로 지구 표면으로부터 약 160km에서 2000km 상공의 원형 궤도이며, 공전주기(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는 약 90분이다.[32] 고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위성은 위성 바로 아래 지점으로부터 약 1000km 반경 내에서만 관측 가능하다. 또한 저궤도 위성은 지상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가 빠르게 변한다. 따라서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일지라도 통신 연결이 끊김없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위성이 필요하다.저궤도 위성은 정지궤도 위성보다 발사 비용이 저렴하며, 지상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높은 신호 세기가 필요하지 않다(신호 세기는 원본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므로 그 영향이 상당하다). 따라서 위성 수와 비용 사이에는 절충이 필요하다.
협력하여 작동하는 위성 집단을 위성체계라고 한다. 원격 지역을 중심으로 위성전화 및 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두 가지 위성체계로는 이리듐과 글로벌스타 시스템이 있다. 이리듐 시스템은 86.4°의 궤도 경사각과 위성 간 링크를 갖춘 66개의 위성으로 구성되어 지구 표면 전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체계로, 전 세계적인 위성 인터넷 접속 범위를 목표로 한다.
지구의 한 부분을 지나면서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다른 부분을 지나면서 전송할 수 있는 저궤도 위성을 사용하여 불연속적인 적용 범위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캐나다의 CASSIOPE 통신 위성의 CASCADE 시스템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저장 및 전달 방식을 사용하는 또 다른 시스템은 오브콤이다.
3. 3. 몰니야 궤도
몰니야 궤도는 고위도 지역에서 통신하기 어려운 정지 궤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타원형 궤도이다. 특히 러시아와 같이 고위도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정지 궤도 위성이 지평선 낮게 위치하여 통신 연결성과 다중경로 문제가 발생한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몰니야 궤도는 높은 궤도 경사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지정된 위치에서 높은 앙각(지평선을 기준으로 위성의 위치)을 확보할 수 있다. 몰니야 궤도의 주기는 12시간으로, 위성이 지구를 두 바퀴 도는 동안 목표 지역에서는 약 8시간 동안 위성을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3대의 위성 (여분 위성 포함)을 이용하면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965년 4월 23일, 몰니야 (위성) 시리즈의 첫 번째 위성이 발사되어 모스크바와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지역 간의 TV 신호 전송 실험에 사용되었다. 이후 1967년 11월, 소련은 몰니야 위성을 기반으로 한 오르비타라는 국가 텔레비전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다. 몰니야 위성은 러시아 전역에 TV 및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높은 건물이 통신에 장애를 주는 도심 지역에서도 높은 앙각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이동 무선 시스템 등에도 활용된다.[34]
3. 4. 기타 궤도
중궤도 (MEO): 지구 저궤도와 정지 궤도 사이의 궤도로, GPS 위성 등에 사용된다.[48]
극궤도: 지구의 극지방을 통과하는 궤도로, 지구 전체를 관측하는 데 유리하다. 미국에서는 국립 극궤도 운영 환경 위성 시스템(NPOESS)이 1994년에 설립되어 NASA(미국항공우주국)와 NOAA(미국해양대기청)의 극궤도 위성 운영을 통합했다. NPOESS는 기상 위성을 위한 METSAT, 프로그램의 유럽 지부인 EUMETSAT, 기상 관측을 위한 METOP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한 여러 위성을 관리한다. 이 궤도는 태양 동기 궤도이며, 매일 같은 지역 시각에 적도를 통과한다. 예를 들어, NPOESS(민간) 궤도의 위성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적도를 통과하는 시각이 오후 1시 30분, 오후 5시 30분, 오후 9시 30분이다.
러시아는 지리적으로 고위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몰니야 궤도의 통신위성을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저궤도 위성은 궤도 주기가 하루보다 훨씬 짧은 저고도 위성으로, 이용자 상공을 통과하는 시간에만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통신 가능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많은 위성이 필요하며, 여러 위성을 연동하여 운영하는 경우에는 위성 시스템을 구성한다. GPS 위성이나 휴대전화 서비스용 위성전화인 이리듐 등이 이에 해당한다.[48]
4. 사용 주파수
통신 위성은 주로 UHF 대역에서 SHF 대역을 사용한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다.
대역 | 용도 | 상향 주파수 (GHz) | 하향 주파수 (GHz) | 특징 |
---|---|---|---|---|
L 밴드 | 저궤도 위성 통신 (이리듐) | 1.61 ~ 1.625 | 1.5425 ~ 1.5435 | |
C 밴드 | 정지 궤도 위성 통신 | 5.845 ~ 6.425 | 3.62 ~ 4.2 | 넓은 커버리지, 강우 감쇠 영향 적음, 대구경 안테나 필요 |
X 밴드 | 군사용 | 강우 감쇠 적음, 높은 주파수 (황금 대역) | ||
Ku 밴드 | 정지 궤도 위성 통신 | 14.0 ~ 14.5 | 12.25 ~ 12.75 | 강우 감쇠 문제 (10GHz 이상), 안테나 소형화 가능 |
S 밴드 | 위성 관제 (TT&C) | 2.025 ~ 2.12 | 2.2 ~ 2.3 | |
Ka 밴드 | 고주파 대역, 넓은 대역폭,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 |
5. 활용 분야
통신 위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몰니야 위성은 극지방 근처에서 통신 연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몰니야 궤도는 위성이 궤도의 대부분 시간 동안 극 북쪽 고위도 상공에 머무르도록 설계되어, 3개의 위성으로 중단 없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1965년 4월 23일, 몰니야 시리즈의 첫 번째 위성이 발사되어 모스크바와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 지역 간의 TV 신호 전송 실험에 사용되었으며, 1967년 11월에는 몰니야 위성을 기반으로 한 국가 TV 네트워크인 오르비타가 구축되었다.
5. 1. 음성 통신
통신 위성은 대륙 간 장거리 전화 통신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공중 교환 전화망이 유선전화의 연결을 지상국으로 전달하면, 지상국은 이를 정지 궤도 위성으로 전송한다. 하향링크 역시 비슷한 경로를 따라 음성 신호가 전송된다. 광케이블을 사용한 해저 케이블 분야가 발전하면서 20세기 후반에는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장거리 전화가 감소했다. 하지만, 어센션섬, 세인트헬레나, 디에고 가르시아 섬, 이스터 섬과 같이 해저 케이블이 없는 지역에서는 여전히 사용된다.[7] 또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캐나다, 중국, 러시아, 호주 등 유선전화망이 드문 지역과 남극, 그린란드 연결에도 사용된다.5. 2. 위성 방송
통신 위성은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직접 위성 방송(DBS)은 가정의 소형 안테나로 직접 수신할 수 있는 고출력 방송 서비스이다. 고정 위성 서비스(FSS)는 주로 방송 네트워크와 지역 계열사 간의 피드 전송, 원격 교육, 기업 방송, 화상 회의 등에 사용된다.FSS 위성은 C 대역과 Ku 대역의 하위 대역을 사용하며, DBS 위성은 마이크로웨이브 Ku 대역의 상위 대역에서 작동한다. FSS 위성은 DBS보다 낮은 주파수와 낮은 전력으로 작동하여 더 큰 안테나가 필요하다. Ka 대역 트랜스폰더를 탑재한 위성도 일부 발사되었다.
한국에서는 스카이라이프가 DB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89년 방송법 개정으로 통신 위성을 이용한 불특정 다수에 대한 직접 방송(CS 방송)이 가능해졌고, 1996년 일본디지털방송서비스가 CS 디지털 방송 "퍼펙TV!"를 시작했다. 총무성은 2009년 CS 방송 중 동경 110도에 발사된 통신 위성 N-SAT-110을 이용하는 스카파! 등을 "특별 위성방송"으로, 스카파! 프리미엄 서비스 등 통신 위성을 사용한 위성방송은 "일반 위성방송"으로 취급한다.
5. 3. 위성 인터넷
1990년대 이후, 위성 통신 기술은 광대역 데이터 연결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원격 지역에 위치하여 광대역 연결에 접속할 수 없거나 서비스의 높은 가용성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할 수 있다.[48] 이리듐 위성, iPSTAR, 스타링크 위성 등은 이동체 간 통신이나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5. 4. 항법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와 목적지 간의 경로를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24개에서 32개의 위성이 지구 중궤도에 등간격으로 위치하여 이러한 역할을 수행한다. 위성은 1.57542GHz와 1.2276GHz의 주파수로 정보를 전송하고, 지구에 있는 수신기는 그중 4개의 위성에서 송신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한다. 수신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수신한 신호를 가지고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위도와 경도로 정확하게 표시한다.[48]5. 5. 군사 통신
통신 위성은 군사 통신에 사용된다. 통신 위성을 사용하는 군사 시스템에는 미국의 MILSTAR, DSCS, FLTSATCOM, NATO 위성, 영국의 스카이넷,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이 있다. 인도는 최초의 군사 통신 위성인 GSAT-7을 발사했으며, 트랜스폰더는 초고주파, F, C, Ku 대역에서 작동한다.[44] 군사 위성은 보통 UHF, SHF(X 대역) 또는 EHF(Ka 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한다.5. 6. 기타 활용
조석계, 기상 관측소, 기상 부표 등 지상 근처의 현장 환경 모니터링 장비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또는 양방향 원격 측정 및 원격 제어에 위성을 사용할 수 있다.[45][46][47] 이는 GOES 및 METEOSAT과 아르고스 시스템의 다른 위성들과 같이 기상 위성의 보조 탑재체를 기반으로 하거나, SCD와 같은 전용 위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6. 미래 전망
통신위성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더 빠른 속도, 더 넓은 커버리지, 더 낮은 비용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은 전 세계적인 인터넷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위성 기술은 5G, 6G 등 차세대 통신 기술과 융합하여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우주 탐사, 우주 관광 등 새로운 우주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NASA는 달 궤도를 도는 우주선과 시설을 위한 "달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루나넷(LunaNet) 데이터 네트워크를 제안했다. 유럽우주국(ESA)의 문라이트 이니셔티브(Moonlight Initiative)는 달 표면 항법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사 프로젝트이다.[35][36] 두 프로그램 모두 달 주위의 다양한 궤도에 여러 개의 위성으로 구성된 위성 집단이다.
지구-달-리브레이션 점 위치도 달을 커버하는 통신 위성을 위한 후보지로 제안되었다.[37][38] 또한, 지표면과 다른 궤도의 다양한 임무를 지원하는 화성(Mars) 궤도를 도는 전용 통신 위성도 고려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궤도나 중궤도의 위성체계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도 있다. 러시아는 지리적으로 고위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몰니야 궤도 통신위성을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satellite communication
https://www.britanni[...]
2015-02-19
[2]
웹사이트
Satellites - Communication Satellites
http://satellites.sp[...]
Satellites.spacesim.org
[3]
잡지
Extra-terrestrial Relays: Can Rocket Stations Give World-wide Radio Coverage?
http://clarkeinstitu[...]
Arthur C. Clarke Institute for Space Education
1945-10-01
[4]
뉴스
Orbit Wars
https://www.washingt[...]
1997-08-03
[5]
잡지
The Man Behind the Curtain
https://www.smithson[...]
2007-11-01
[6]
웹사이트
Design of the first artificial satellite of the Earth
https://www.russians[...]
[7]
웹사이트
Military Satellite Communications Fundamentals
http://www.aerospace[...]
2010-04-01
[8]
서적
Beyond The Ionosphere: Fifty Years of Satellite Communication
https://history.nasa[...]
NASA History Office
[9]
서적
Communications Satellites: Project SCORE
http://www.satmagazi[...]
AIAA
2007-03-16
[10]
웹사이트
United States Aeronautics and Space Activities - first Annual Report to Congress
https://www.nasa.gov[...]
The White House
1959-02-02
[11]
웹사이트
Courier 1B
https://nssdc.gsfc.n[...]
NASA
[12]
웹사이트
United States Aeronautics and Space Activities 1960
https://www.nasa.gov[...]
The White House
1961-01-18
[13]
웹사이트
Echo 1
https://nssdc.gsfc.n[...]
NASA
[14]
서적
Communications Satellites: Telstar
http://www.satmagazi[...]
AIAA
2007-03-16
[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Aeronautics and Space Activities 1962
https://www.nasa.gov[...]
The White House
1963-01-28
[16]
서적
Beyond The Ionosphere: Fifty Years of Satellite Communication
https://history.nasa[...]
NASA History Office
1997
[17]
웹사이트
Project West Ford
https://nssdc.gsfc.n[...]
NASA
[18]
웹사이트
NASA Compendium Of Satellite Communications Programs
https://ntrs.nasa.go[...]
NASA
1975-12-01
[19]
웹사이트
Syncom 2
https://nssdc.gsfc.n[...]
NASA
[20]
웹사이트
Syncom 3
https://nssdc.gsfc.n[...]
NASA
[21]
웹사이트
LES 1
https://nssdc.gsfc.n[...]
NASA
[22]
웹사이트
NASA Compendium Of Satellite Communications Programs
https://ntrs.nasa.go[...]
NASA
1975-12-01
[23]
서적
Handbook of Satellite Applications
Springer
2015
[24]
웹사이트
Early Bird
https://nssdc.gsfc.n[...]
NASA
[25]
웹사이트
NASA Compendium Of Satellite Communications Programs
https://ntrs.nasa.go[...]
NASA
1975-12-01
[26]
웹사이트
Molniya 1-1
https://nssdc.gsfc.n[...]
NASA
[27]
서적
Beyond The Ionosphere: Fifty Years of Satellite Communication
https://history.nasa[...]
NASA History Office
1997
[28]
뉴스
Airbus axes almost 500 jobs in Britain after SpaceX steals a march
https://www.telegrap[...]
2024-12-04
[29]
문서
Orbital periods and speeds calculation
[30]
문서
Moon's orbital variations
[31]
웹사이트
SKYTRAC #SatcomSeries: The Difference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LEO and GEO Satellites
https://www.skytrac.[...]
2022-04-26
[32]
웹사이트
IADC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http://www.unoosa.or[...]
INTER-AGENCY SPACE DEBRIS COORDINATION COMMITTEE: Issued by Steering Group and Working Group 4
2007-09-01
[33]
서적
The Basics of Satellite Communications
https://www.google/b[...]
Intl. Engineering Consortiu
2006
[34]
웹사이트
Soyuz Flight VS05 Launch Kit
https://www.arianesp[...]
2013-06-01
[35]
웹사이트
Project Moonlight
https://www.esa.int/[...]
2021-10-01
[36]
웹사이트
Moonlight Webinar
https://bsgn.esa.int[...]
2022-03-01
[37]
간행물
TYCHO: Supporting Permanently Crewed Lunar Exploration with High-Speed Optical Communication from Everywhere
https://ideas.esa.in[...]
2022-05-01
[38]
간행물
TYCHO mission to Earth-Moon libration point EML-4 @ IAC 2013
https://www.youtube.[...]
2013-10-06
[39]
웹사이트
Connected:Maritime
http://www.iridium.c[...]
2013-09-19
[40]
웹사이트
Orby TV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20-04-09
[41]
웹사이트
GSAT-14
https://web.archive.[...]
ISRO
2014-01-16
[42]
뉴스
Indian GSLV successfully lofts GSAT-14 satellite
http://www.nasaspace[...]
2014-01-16
[43]
웹사이트
DIRECTV's Spaceway F1 Satellite Launches New Era in High-Definition Programming; Next Generation Satellite Will Initiate Historic Expansion of DIRECTV
https://spaceref.com[...]
SpaceRef
2005-04-26
[44]
웹사이트
India's first 'military' satellite GSAT-7 put into earth's orbit
http://www.ndtv.com/[...]
2013-09-18
[45]
서적
Observation of the Earth and Its Environment
Springer Berlin Heidelberg
[46]
웹사이트
Satellite Data Telecommunication Handbook
https://library.wmo.[...]
2020-12-21
[47]
서적
Manual on sea level measurement and interpretation, volume V: Radar gauges
https://unesdoc.unes[...]
2023-08-18
[48]
웹사이트
こんなに細くて大丈夫? 知られざる「海底ケーブル」の世界 (1/2)
https://www.itmedia.[...]
ITmedia エンタープライズ
2018-04-29
[49]
웹사이트
シンコム2号
https://web.archive.[...]
宇宙情報センター(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8-01-06
[50]
웹사이트
Television Tests with the Syncom II Synchronous Communications Satellite (NASA technical note D-2911)
https://ntrs.nasa.go[...]
미국항공우주국
2018-01-06
[51]
웹사이트
シンコム3号
https://web.archive.[...]
宇宙情報センター(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18-01-06
[52]
웹사이트
Syncom 3
https://nssdc.gsfc.n[...]
미국항공우주국
2022-01-05
[53]
웹사이트
五輪の映像を“宇宙中継”で世界へ 巨大アンテナ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
2022-01-05
[54]
백과사전
satellite communication
http://www.britannic[...]
2016-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